스타트업의 성공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도대체 무엇일까? 




중요하지 않은 요소가 어딨겠냐만, 이 영상에서는 한가지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는다. 매번 나가는 스터디에서 아주 좋은 동영상을 보게되었다. TED강연인데, BILL GROSS의 스타트업의 성공에 가장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해 그가 했던 연구 조사 자료들을 공유한다. 7분정도 밖에 되지 않으니 꼭 한번 시청해보면 좋을 것 같다. (https://www.youtube.com/watch?v=bNpx7gpSqbY)


결국 BILL GROSS가 내린 결론은 스타트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타이밍'이라는 것이다. 수 많은 스타트업을 연구, 분석 해본 결과 타이밍이라는 요소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고 스타트업을 시작하기 전 타이밍을 잘 잡기 위해 노력하라. 라는 내용이다. 





처음 영상을 보았을때는 이 주제에 대해서 깊게 생각해보지 않았었기 때문에 다 맞는말 같았다. 하지만 집으로 돌아와 나만의 기준을 확립해보기 위하여 영상을 몇 번 더 보고 나니 많은 의구심이 생겼다. 


우선, Bill Gross가 낸 결과(타이밍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는, 성공 혹은 실패한 스타트업들을 결과론적으로 분석했기 때문에 그렇다는 생각이 들었다.  왜냐하면, 실패한 많은 스타트업들이 사업을 시작하기 전 이 사업이 시작되기에 타이밍이 맞는 사업인지 아닌지 사전 조사를 해보지 않고 사업을 시작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 뛰어난 사람들이 그러지는 않았을 것이라 생각되지는 않는다. 타이밍을 완벽하게 분석해내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깝고 그 타이밍이 맞았는지 틀렸는지는 결국 사업이 시작되어봐야 아는 것이라는 것 임을 말이다.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결국 타이밍이라는 것은, 그 사업이 실패로 끝나거나, 성공으로 끝나거나 했을때 판단할 수 있는 부분이지 않은가? 




예를 들어 에어비앤비의 창업자가 정확하게 타이밍을 읽고 들어갔다고 확신할 수 있는가? 여러분들도 아시다시피 에어비앤비의 창업자는 수 많은 투자자들과 사람들의 무시와 조롱속에서 사업을 시작했다고 한다. 본인들 조차말이다. 트랜드를 읽고 빠른 이익을 취할 수 있어야하는 수 많은 투자자들이 부정적으로 본 사업 아이템이 과연 들어가기 좋은 타이밍이었다고 할 수 있는가? 아닐 것이다. 그런 타이밍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은 신만이 할 수 있지 않을까? 그래서 나는 타이밍이라는 것은 결과론적인 관점에서 판단할 수 있는 부분이 크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타이밍이 가장 중요한 사업의 관점이라 보는 입장은 창업자들이 산전수전을 겪고 내공이 어느 정도 쌓인 상태에서나 통하는 일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창업자들은 아직 그러지 않은 상태일 것이다. 대부분의 창업자들은 성공 하기 전 평균 3,4번의 실패를 경험한다고 한다. 그 우수한 사람들이 말이다. 그들이 한번만에 좋은 타이밍을 잡고, 좋은 팀웍을 가지고 좋은 사업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다는 것은 정말 쉽지 않은 일일것이다. 그러니 그들에게 단순히 좋은 타이밍이에 들어가면 성공할 수 있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을 판단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 대목에서 나는 아주 중요한 사실을 다시 한번 느꼈다. 


타이밍을 맞을지 안맞을지, 이 아이디어가 좋은 아이디언지 안좋은 아이디언지 알수 없다면 결국에는 실행을 해보는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에어비앤비가 수 많은 사람들의 조롱과 무시를 받았을때 도중에 포기했다면 그 아이디어는 타이밍이 안좋았고 좋지 않은 아이디어로 끝날을 것이다. 하지만 그들은 어느정도의 확신을 가졌고 그 아이디어를 위해 계속해서 도전하고 실행했다. 그리고 결국, 에어비앤비는 어떻게 되었는가? 


생각해보면 중요하지 않은 요소는 없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하나를 뽑으라면 나는 실행력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들이 성공으로 가기전까지 그것을 제대로 판단할 수 있는 내공을 기르기 전까지, 정말 좋은 아이디어를 만나기 전까지, 정말 좋은 타이밍을 만나기전까지 무수히 실행해왔기 때문이 아닐까?


1류의 아이디어와 3류의 실행력보다 3류의 아이디어와 1류의 실행력이 더 낫다.는 마윈 회장의 말처럼 말이다. 





그래서 우리는 오늘도 실행한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